중소기업재직자우대적금 중소기업재직자 우대적금상품이 있어 회사에 물어보니 하겠다는 답변을 받았습니다. 그런데 그금액을
중소기업재직자 우대적금상품이 있어 회사에 물어보니 하겠다는 답변을 받았습니다. 그런데 그금액을 임금인상시 반영을 한다고합니다. 이정책의 취지는 중소기업인력이탈을 막고 기업은 세금감면과 은행대출금리인하 혜택을 주는걸로 알고 있습니다.근로자는 매년 작지만. 임금인상시 기본급과 그에따른 초과근무수당,퇴직금 까지 생각하면 근로자 입장에선 아주좋은 상품은 아닌거 같아 여쭤 봅니다.
안녕하세요,
자산관리 전문 설계사입니다.
중소기업재직자 우대적금은 정부 정책으로 만들어진 상품이라
좋은 조건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기업과 정부 입장에 유리한 구조가 많습니다.
질문자님이 느끼신 “임금 인상 대체” 부분은 정말 중요한 포인트고요.
지금 기준으로 현실적으로 정리해드릴게요.
⸻
1. 중소기업 우대적금, 구조 자체는 이렇습니다
• 매달 저축하면 정부와 기업이 일정 금액을 함께 적립해주는 구조
• 3년 이상 재직하면 총 600~700만 원 수준 자산 형성 가능
• 장기 근속 유도 + 중소기업 이탈 방지 목적
⸻
2. 임금인상과 엮이는 순간, 실질 이익은 줄어듭니다
• 어떤 기업은 이걸 마치 ‘급여 인상’처럼 반영하려고 해요
• 예: “우대적금 지원해주니까 연봉은 그대로 가자”
→ 결국 질문자님처럼 기본급, 퇴직금, 수당까지 손해볼 수 있는 구조로 흘러갑니다
→ 이럴 경우, 오히려 체감 월급은 줄어드는 셈이에요
⸻
3. 현실적으로는 이렇게 나눠서 접근하시는 분들이 많습니다
예: 실제 20대 후반 중소기업 고객님은
우대적금은 기본 참여만 하고,
나머지 여유자금은 달러 기반 복리 저축 구조로 따로 운용
3년 후엔 정책지원금 포함해 약 700만 원,
10년 후엔 자산 2,000만 원 이상으로 성장 가능 구조 설계하셨어요
→ 즉, 정책상품은 보조 수단으로 쓰고,
→ 자산은 따로 굴리는 구조를 만드는 게 핵심입니다
⸻
정리하자면
• 제도 자체는 나쁘지 않지만,
• 기업이 임금인상 대체 수단으로 활용하면 실질적 손해 가능성 있음
• 급여, 수당, 퇴직금에 반영되는 기본급 구조 따로 챙기셔야 합니다
• 우대적금은 보조 수단 정도로 보고,
• 본인의 자산 형성은 따로 설계하시는 게 현실적인 방향입니다
⸻
질문자님 상황도 흐름만 잡아도
지금부터 자산이 완전히 다르게 불어날 수 있어요.
필요하시면 간단하게 정리 도와드릴게요.
지금이 제일 좋은 타이밍입니다.